대학교 관련 주제

지속 가능한 발전의 역사적 구성

SUN 2023. 6. 21. 14:35
반응형

지속 가능한 발전이 등장한 배경


92년 UN환경개발회의(리우회의)에서는 72년에 제기되었던 환경보호와 관리에 대해  당시에는 남반구 국가들이 즉각적인 반발 속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해서 정책화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1964년 G77개국이 형성된 후 OPEC 창설, 자원 민족주의 흐름 속에서 리우 선언을 채택해 3대 국제환경협약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협약, 사막화 방지 협약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발전이 논제로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의 여러 목적 :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목적

해외 자본이 주로 들어와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만들 것, 네트워크나 산업 클러스터등을 확장 

이는 기존의 자원의 개발에서 수출하는 것은 똑같으나 지속적, 남반구 지역의 이윤을 창출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채택한 것입니다. 

사회적 목적

초국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들었습니다. 초국적 기업의 영향은 점점 늘어나기에 이들의 공동체 참여 발전 이나 빈곤 감축 프로그램 등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환경적 목적

기존에는 화학비료, 토질악화, 살충제 등 가격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환경을 사용했지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중요해지면서 지역 주민이 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고 감소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환경은 법적 안정성이 보장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에(인과관계 파악 어려움)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그래서 환경영향평가에서는 한경적 피해로 인한 지역 주민의 공간에 대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합니다. 

환경의 주류화 경향


신자원개발 과정에서 국제사회는 물론 정부 차원에서도 환경 보호와 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어짐 : 환경영향평가가 있습니다.

 

환경 및 자원과 관련된 제도 및 거버넌스의 강화는 구제 개발에서의 환경의 주류화 경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환경의 주류적 경향

1990년대 환경과 개발의 간계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통해, 개발과정에서 환경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환경의 통합화가 강조되는 추세입니다.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생산과 소비 중심의 경제개발 과정을 향후 환경 질 악화, 자원고갈, 생태계 파괴 등 문제를 초래하여 결국 전 지구적으로 총체적인 부담을 주게 됩니다. 자원의 의존도가 높고 환경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제한적이기에 개발과정에 환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

OECD DAC는 개발원조사업이 해당 국가의 환경과 지역사회에 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것을 고려합니다. 

 

전략적 환경평가 : 수직적 의사 결정 체계에서 프로젝트보단 상위단계인 정책, 계획, 프로그램 단계에서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배려하는 도구입니다. 

 

sea에서 모든 사례에 일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법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국제적으로 SEA에 대한 이해가 매우 다양하여 통합화의 정도, 기간, 정책, 계획, 프로그램과의 관련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