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관련 포스팅

광해군 업적 요약 및 일생 인조반정 까지 임진왜란의 왕세자

SUN 2021. 12. 6. 13:21
반응형

광 해(빛날 광, 바다 해) 

 

선조의 둘째 아들이자 계비의 아들로 태어난 광해, 그의 이름은 이 혼 이다. 

먼저 광해는 서자로 태어났기에 적자(본처의 아들)가 아닌 탓에 그의 정치적 기반은 초반부터 무척 약할 따름이었다. 적자가 아니기에 북인을 등에 엎고서 왕이 되었고 그로 인해 왕이 된 직후 내내 서인과 계속되는 마찰이 있으면서 결국 광해군의 폐륜을 명분을 삼고서 서인이 인조반정에 성공하게 되며 광해는 군이라는 칭호가 붙으며 광해군으로 전락, 제주도로 유배돼서 거기서 생을 마갑하게 된다. 

광해 포스터

임진왜란 도중 세자 책봉, 백성의 신뢰 받아

광해군이 왕이 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임진왜란이다. 선조의 정치는 그야말로 무능함 그 자체였는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백성들을 버리고 명의 도움을 받고자 궁을 떠난 채 피신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우리가 잘 아는 경복궁은 분노한 백성들에 의해 불에 타버리게 되고 극에 달한 분노 속에서 선조는 다가오는 왜군을 저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게 된다.

 

여기서 광해군을 따랐던 북인들은 보통 지방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며 광해군을 따라 왜군을 무찌르는데 크나큰 공을 쌓아나갔다. 일례로 정인홍 의병장은 성주,고령 등지에서 왜군을 격퇴하고 전쟁 이후 북인의 정권 수립에 참여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해 나갔습니다.

 

백성을 버리고 피신한 선조 대신 광해군이 이렇게 백성을 지키고 전쟁의 승기를 다져나가자 당연히 백성들은 광해군을 더 따르고 선조는 백성들의 지지가 바닥을 향해 가고 있던 시점, 중풍으로 결국 승하하게 되면서 당시 왕세자였던 광해군이 서자임에도 불구하고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외교 선택

왕이 된 광해는 먼저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하기 위해 힘썼는데요. 당시 조선은 명을 섬기는 나라였지만 계속 강력해가는 후금이 명을 치게 되고 명은 조선에게 군사를 요청합니다.

 

임진왜란 때 군사를 보내 조선을 도왔던 명나라에게 지원병을 보내야 한다는 입장과 너무나도 강력하게 성장하는 후금의 후환을 생각하며 군사를 보내면 안된다는 입장으로 갈리게 되는 상황이 있었는데요.

 

여기서 명나라와 사대의 의지를 지키며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후금의 눈초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병사는 파병하나 후금에 서신을 보내 명의 압박속에 군사를 보내나 후금의 친선을 중요시한다며 우리 군사들을 부디 다시 돌아오게 해달라고 말하며 명나라와 후금의 싸움에 말려들지 않는 실리정책을 펴나가며 나라를 지켜나갔습니다.

 

사실 이 상황에서 명나라의 편만을 들었다면 결국 명은 무너지고 청이 들어섰기에 조선의 입장은 참으로 곤란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는데요. 여기서 나라를 지키는 실리적인 선택을 하면서 조선에는 어떠한 피해도 입지 않은 채 현명하게 처리해 나갔습니다. 

 

대동법 시행 및 토지,호적 조사

전쟁 이후 폐허가 된 조선을 다시 재건하기 위해선 많은 정책들이 필요했습니다. 광해군은 일련의 전쟁으로 피해를 봤던 백성들을 위해 토지와 호적 조사를 했고 피폐된 사업들을 하나 둘 씩 복구해 나갔습니다. 

 

거기서 우리가 크게 볼 수 있는 업적은 바로 대동법의 최초의 시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전의 조선의 세금을 걷는 수단은 너무나도 불안했습니다. 지역마다 특산물을 세금으로 내야 했는데 사실 그 특산물이 한정되어 있는 수량이 있다 보니 공물을 구하기도 어려웠고 그 과정에서 공물 주인이 백성들에게 가격을 바가지 씌우는 등 수많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세금을 일률적으로 걷는 대동법을 마련하면서 지역 특산물이 아닌 쌀로만 세금을 내는 방안으로 조세 개혁을 통해 세금의 수요를 안정시켰습니다.

인조반정

하지만 이런 광해군의 왕위도 얼마 가지 못했습니다. 그는 인조반정을 통해 조선에서 두 번째로 왕위간 신하들을 통해 폐위된 왕이 되었고 결국 광해군이라는 칭호가 붙게 되었습니다.

 

먼저 광해군에서 세력을 많이 잃은 서인과 소북파의 반발로 일어나게 되었으며 그 명분은 자신의 동생들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폐위시킨 것으로 인조 반정을 일으키게 됩니다.

 

자신의 형인 임해군을 유배보낸 후 독살했다는 주장과 이복동생인 영창대군과 조카인 능창군 유배, 인목왕후를 폐위시킨 것을 명분으로 들고 일어났습니다.

 

폐모살제라는 명분으로 병마 절도사 이괄은 군사력으로 인조반정을 결국 성공해내고 광해군은 제주도로 유배를 되게 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광해군의 폐위 이후 또 다시 병자호란이 일어나면서 광해군의 왕위 전 후로 조선의 역사상 가장 컸던 전쟁 2개가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