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셔방정식 및 명목, 실질금리
경제학을 배우기 전에는 만연한 금리 인상과 인하에 대해 무감각해 질 때가 있었습니다. 왜 국가는 기준금리를 정하며 일률적으로 따르는 그 금리 인상에는 어떤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이는 우리의 경제 전반에 관련이 있습니다.
금리란?
금리는 돈의 사용에 대한 대가이며 즉 우리가 흔히 아는 돈에 대한 이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금리는 시장 전반에서 자본의 흐름을 조절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금리의 인상과 인하를 통해 돈의 수요와 공급은 조절이 되며 이로 인해 물가 상승 및 물가 안정을 금리를 통해서 잡을 수 있기에 거의 모든 시장자본 국가에서는 이 금리를 이용하여 항상 시장의 인플레이션을 예의주시합니다.
금리가 인상될 시 생기는 변화
1. 금리 인상 → 저축 증가 → 돈의 유동성 감소 → 물가 안정
2. 금리 인상 → 해외자본의 유입 → 원화 수요 높아짐 → 원화 가치 증가 → 환율 감소 → 수입품 가격 감소 → 물가 안정
3. 금리 인상 → 차익비용 증가 → 부동산 가격 및 임대료 가격 하락 → 물가 안정
4. 금리 인상 → 할부 및 신용카드 비용 감소 → 물가 안정
1. 금리를 인상한다면 높은 이자율 덕분에 사람들은 은행에 저축을 하게 됩니다. 그럴 경우 돈의 유동성은 감소하며 이전의 물가보다 안정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2.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해외 자본이 한국의 금리가 높기에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이는 원화의 수요의 증가를 불러옵니다. 여기서 원화의 가치가 증가하게 되며 원화의 가치가 증가한다면 1달러 당 교환할 수 있는 원화의 가격은 작아지게 됩니다. 즉 환율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이전에 1달러 당 1000원이라는 금액을 받을 수 있었지만 가치가 증가하면서 800원만 받을 수 있는 식) 환율이 감소하면서 수입품의 가격 또한 따라서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또한 물가 안정을 야기합니다.
금리와 환율의 관계
국내 화폐와 해외 화폐의 상대가격을 비교해 자금은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이동한다.
3. 금리를 인상한다면 차익비용(돈을 빌릴 때 드는 비용)이 증가합니다. 그러기에 사람들이 부동산 및 임대료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부동산 가격 및 임대료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서 물가가 안정되게 됩니다.
4. 금리를 인상할 시 이자율이 높기 때문에 할부 및 신용카드의 비용또한 부담을 느끼고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면서 물가가 안정되게 됩니다.
물가의 변동을 고려한 금리 종류
명목금리 : 금융회사가 제시하는 금리
실질금리 : 명목금리에 인플레이션율을 더하여 계산된 값
공식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명목금리 :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
피셔방정식 - 명목금리 = 실질금리 + 예상물가상승률
피셔효과 : 명목금리와 예상물가 상승률이 동등한 비율로 올라가는 것
피셔방정식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인플레이션 의 합이라는 관계를 방정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어빙 피셔의 이름을 따 피셔방정식이라고 합니다.
i = 명목이자율
r = 실질이자율
π = 인플레이션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인플레이션 이라는 공식이 나오는 결과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실질이자율x인플레이션의 곱인 rπ는 매우 작은 수치로 나오기 때문에 생략을 하게 됩니다. 결과에 상관이 없는 아주 미미한 소수점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1+i = 1+r+π 가 되고 양쪽에 있는 1을 없애준다면 i = r+π 즉 아까 보았던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인플레이션이라는 공식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즉 이런 i = r+π 라는 식이 생기게 되며 우리는 이 추론을 통해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식은 테일러 전개를 사용해서 피셔 방정식을 나타낸 공식입니다.
'대학교 관련 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pp / have been pp 차이점 분석 능동태 수동태 의미 (0) | 2022.05.02 |
---|---|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8단계 요약 설명 (0) | 2022.05.01 |
가격차별 전략의 조건 예시 소비자 잉여 안내 (0) | 2022.04.08 |
필립스 곡선 설명 인플레이션 수요공급 이해하기 (0) | 2022.04.08 |
유전자 질환 종류 및 성염색체 이상 관련 질병 안내 (0) | 2022.04.08 |